대한민국 비자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
외국인이 우리나라 대한민국에 입국을 위해서는 비자가 필요합니다 우리나라의 비자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.
![](http://onseha.com/wp-content/uploads/2023/06/image-31.png)
A비자
A비자는 외교공무 비자로, 대한민국에서 외교적 또는 공무적인 활동을 하기 위한 비자입니다. A비자에는 다음과 같은 하위 분류가 있습니다.
- A-1: 외교 (Diplomacy)
- A-2: 공무 (Official Duty)
- A-3: 협정 (Agreement)
B비자
B비자는 사증면제 비자로, 대한민국과 비자면제협정을 체결한 국가의 국민이나 K-ETA (전자여행허가)를 받은 국가의 국민이 대한민국에 잠시 방문하기 위한 비자입니다. B비자에는 다음과 같은 하위 분류가 있습니다.
- B-1: 사증면제 (Visa Exemption)
- B-2: 관광통과 (Tourist Transit)
C비자
C비자는 비영리단기 비자로, 대한민국에서 비영리적인 단기활동을 하기 위한 비자입니다. C비자에는 다음과 같은 하위 분류가 있습니다.
- C-1: 단기순방 (Short-term Visit)
- C-2: 단기상용 (Short-term Business)
- C-3: 일반관광 (General Tourism)
- C-4: 단기취업 (Short-term Employment)
D비자
D비자는 장기체류 비자로, 대한민국에서 장기적으로 체류하면서 학업, 연수, 취재, 종교 등의 활동을 하기 위한 비자입니다. D비자에는 다음과 같은 하위 분류가 있습니다.
- D-1: 문화예술 (Cultural Arts)
- D-2: 유학 (Study Abroad)
- D-3: 산업연수 (Industrial Training)
- D-4: 일반연수 (General Training)
- D-5: 취재 (Journalism)
- D-6: 종교 (Religion)
- D-7: 주재 (Dispatched Employee)
- D-8: 기업투자 (Corporate Investment)
- D-9: 무역경영 (Trade Management)
E비자
E비자는 전문직 비자로, 대한민국에서 전문적인 활동을 하기 위한 비자입니다. E비자에는 다음과 같은 하위 분류가 있습니다.
- E-1: 교수 (Professor)
- E-2: 외국어 강사 (Foreign Language Instructor)
- E-3: 연구 (Research)
- E-4: 기술 지도 (Technology Guidance)
- E-5: 전문직 (Professional Employment)
- E-6: 예술 공연 (Arts and Performance)
- E-7: 특정 활동 (Special Activity)
- E-8: 산업 연수 (Industrial Training)
- E-9: 비전문직 (Non-professional Employment)
- E-10: 선원 (Vessel Crew)
F비자
F비자는 거주 비자로, 대한민국에서 장기적으로 거주하거나 귀화할 수 있는 비자입니다. F비자에는 다음과 같은 하위 분류가 있습니다.
- F-1: 가족초청 (Family Visitor)
- F-2: 거주 (Residence)
- F-3: 동반가족 (Dependent Family)
- F-4: 재외동포 (Overseas Korean)
- F-5: 영주권자 (Permanent Resident)
- F-6: 결혼이민자 (Marriage Migrant)
G비자
G비자는 일반 비자로, 대한민국에서 특별한 목적이 없이 일시적으로 방문하거나 체류하는 비자입니다. G비자에는 다음과 같은 하위 분류가 있습니다.
- G-1: 기타 (Other)
- G-2: 교환학생 (Exchange Student)
- G-3: 관광통과 (Tourist Transit)
- G-4: 공무원 및 국제기구 직원 (Government Official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Staff)
T비자
T비자는 인적교류 비자로, 대한민국에서 인적교류를 목적으로 하는 활동을 하기 위한 비자입니다. T비자에는 다음과 같은 하위 분류가 있습니다.
- T-1: 인적교류 (Humanitarian)
- T-2: 국제협력 (International Cooperation)
- T-3: 국제회의 (International Conference)
- T-4: 자원봉사 (Volunteer Service)
- T-5: 국제협약 (International Agreement)
- T-6: 특별입국허가 (Special Entry Permit)
대한민국 비자 신청 방법과 요건은 각 비자 종류와 국가별로 다르므로 자세한 내용은 KOREA VISA PORTAL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- KOREA VISA PORTAL
URL : visa.go.kr
비자포털을 통한 비자발급인정서 신청, 비자의 종류와 유효기간, 입국절차, 외국인등록, 외국인의 활동범위와 취업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.